온라인 3D 공간 정보에 기반한 거주자 만족도 수집 및 가시화 시스템 개발

项目来源

韩国国家科技基金

项目主持人

김덕우

项目受资助机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立项年度

2019

立项时间

未公开

项目编号

1711101146

研究期限

未知 / 未知

项目级别

国家级

受资助金额

30000000.00韩元

学科

未公开

学科代码

未公开

基金类别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关键词

未公开

参与者

未公开

参与机构

未公开

项目标书摘要:연구내용
        -비용-효율적인 거주자 만족도 수집 방법론을 설계하며 수집된 정보의 체계화 방법을 제안한다.최종적으로 연구 결과물을 실제 구현확인하기 위한 온라인 공간 정보 기반가시화 시스템(시작품)제작을 목표로 한다.
        ㅇ 재실자 만족도 평가항목 및 지표 개발,설문항목 test 및 분석,온라인 3D 공간 정보 기반 거주자 만족도 수집 및 가시화 시스템 고도화ㅇ 재실자 만족도 평가항목 및 지표 개발-주요국에서 개발된 민간/공공 설문항목과 선행연구 설문문항을 종합하여 한국형 재실자 실내환경 만족도 설문항목 개발ㅇ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설문조사 실시 및 분석(`19.9.9.~9.20)-본관 및 건설산업혁신센터에 근무하는 재실자 대상 200여명대상 실시 및 최종 수집 응답 130건 분석
        ㅇ(과학기술적 파급효과)기존의 거주후만족도 조사,실내환경조사(IEQ)의 손쉬운 수행 및 DB화 및 가시화 가능-만족도를 고려한 증거중심의 평가지표(evidence-based indicator)를 제시-기존건축물에 대한 OR 성능 평가 방법의 고도화 기대-다각도의 건축물 성능 평가 가능성 제시ㅇ 연구 분석의 목적을 넘어 건물 및 시설관리자,건물성능평가 컨설턴트 등에서 건물 실내 검진 업무의 생산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건물관리를 위해 모든 구역을 돌며 사진을 찍고,종이로 체크하면서 진행해왔던 기존의 검사체계에서 본 시스템을 도입한다면,실시간으로 광역적인 진단을 할 수 있는 혁신적인 디지털 건축물 관리의 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됨ㅇ(사회경제적 파급효과)-기존의 거주자 실내환경 만족도 조사의 시간과 비용을 현격히 절감-동시다발적으로 광역적인 건물성능평가 점검에 기여-합리적 성능평가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기존 인증제도의 비용을 줄이고,새로운 시장(증거기반의 평가)의 확산을 기대-건축물 만족도 평가에 대한 대국민 인식 전환 기대

  • 排序方式:
  • 0
  • /
  • 排序方式: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