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동아시아와 '反戰'---사상, 운동, 문화적 실천
项目来源
韩(略)研(略)((略))
项目主持人
박(略)
项目受资助机构
가(略)교
项目编号
2(略)-(略)-(略)0(略)
立项年度
2(略)
立项时间
未(略)
研究期限
未(略) (略)
项目级别
国(略)
受资助金额
0(略)韩(略)
学科
未(略)
学科代码
未(略)
基金类别
人(略)-(略)회(略)원(略)구(略)원(略)신(略)강(略) (略)
关键词
未(略)
参与者
박(略);최성실;정문상;박종린;김승욱;박난영;박양신)
参与机构
未(略)
项目标书摘要:과제(略)목표 21세기에 (略)계적 차원뿐만 아(略)서 21세기 새로(略) 통한 평화 실현(略) 확산되고 이 과(略)․세계적 차원의 (略)가 모색되고 있는(略)다 ... 21세(略)는 세계적 차원뿐(略)차원에서 21세기(略)반전을 통한 평화(略) 널리 확산되고 (略)지역적․세계적 차(略) 연대가 모색되고(略)고 있다. 이러한(略)의 출발점이다. (略)개되고 있는 반전(略)지 않고 한국뿐만(略)발전적 미래를 전(略)산으로 기능하도록(略)엇보다도 과거의 (略)토할 필요가 있다(略)관련하여 20세기(略)은 상호 간의 침(略) 일국 내부에서도(略)의 갈등과 대립에(略) 알려진 사실이다(略)한편으로는 다양한(略), 평화체제 구축(略)이 경주되어 왔다(略) 지향과 노력에 (略) 적극 발굴하여 (略)과 관련지어 재구(略)다. 이러한 연구(略)동 과정에서 계승(略)엇인지 그리고 경(略)엇인지 등을 가려(略)같이 한다. 그리(略)이 내실 있고 원(略)도록 활용할 역사(略) 하는 시도인 것(略) 목적은 이러한 (略)한되지 않는다. (略)국 지식사회에서 (略)아론의 내용을 한(略)적도 갖고 있다.(略)목하는 동아시아론(略) 근대의 극복과 (略)기획 아래 동아시(略)역연대의 가능성을(略). 이 동아시아론(略)사이의 매개항으로(略)념이 갖는 중요성(略)하면서 각국의 근(略) 검토하기를 촉구(略)상과 같은 근대 (略)지적 탐색에 공감(略)성찰의 또 다른 (略)목할 것을 제안한(略)드로 20세기 동(略)경험을 비판적으로(略)존 동아시아론의 (略)해줄 것으로 기대(略)연구는 ‘반전’을(略)동아시아 3국의 (略)공동연구를 통해 (略)써, 최근 한국사(略)고 있는 동아시아(略)성히 하고, 동아(略)연대를 지향하는 (略)을 모색 ... (略) 키워드로 20세(略)근대 경험을 학제(略)추적하여 분석해냄(略)회에서 새롭게 부(略)론의 내용을 한층(略)시아 차원의 협력(略)21세기 실천적 (略)한 단서를 찾고자(略)러한 시도는 전지(略) 동아시아 평화학(略)엇인지를 구체적으(略) 것이라 믿는다.(略)의 성과물은, 그(略)‘반전’이라는 관(略)시아 근대를 비판(略)써 새로운 학문적(略)생각한다. 또한 (略)세기의 당면과제와(略)사적 자산을 제시(略)도 큰 기여를 할(略)이러한 지향과 의(略)로서 공동연구를 (略)내외의 반전평화연(略)직적 네트워크를 (略) 활용할 예정이다(略)동연구결과물의 국(略) 한편, 반전평화(略)1세기 과제의 실(略) 역할을 적극 모(略)구요약 본 공동연(略) 과제로 요약된다(略)반전사상, 2) (略) 경계, 3) 반(略)의 가능성이 그것(略)용은 아래와 같다(略) 반전사상’ : (略)국 지식인에게 반(略)공동연구의 내용은(略)약된다. 1) 아(略)2) 반전운동과 (略)) 반전평화와 문(略) 그것이다. 각 (略) 같다. 1) '(略) : 20세기 동(略)게 반전사상이란 (略)어떠한 역사적 배(略)되었는가에 대한 (略). 이를 위해서 (略)사상으로서 아나키(略)키즘은 만인의 보(略) 평등에 기반 한(略)한다. 따라서 국(略)맞서 개인의 권리(略)현을 지향했던 아(略)적인 여건과 특수(略). 그 특수성이 (略)역사는 역설적으로(略)적 가치지향의 출(略)측면에서 무엇보다(略)다고 하겠다. 이(略) 첫째, 한국의 (略)중국의 아나키스트(略)사적 비교를 통해(略)로운 의미를 조망(略)고 일본 제국주의(略) 담론으로 존재했(略)국의 아나키즘 사(略) 관점에서 살펴봄(略)수성과 보편성을 (略)다. 둘째, 일본(略)토쿠 슈스이(幸德(略)『헤이민신분(平民(略) 반대 논조를 통(略)반전사상의 내용과(略)한다. 이러한 시(略) 동아시아 아나키(略)원천을 해명하는 (略) 반전운동과 국민(略)의 정치적인 모토(略) 반전이 반제국주(略)결되는 것은 그런(略)연한 것이다. 정(略)시아 반전이 특히(略)를 받았던 한국과(略)으로 구체화되었다(略)주고 남음이 있다(略)족해방이나 근대적(略) 단일한 범주에 (略)고 생각한다. 반(略)다른 차원에서 근(略)는 결과를 낳았던(略)경험을 염두에 둔(略)운동은 더욱 철저(略) 성찰을 기반으로(略)생각하기 때문이다(略)라는 미래지향적 (略)지점에서 비롯될 (略). 이상과 같은 (略)가지 주제에 대한(略)고자 한다. 첫째(略) 사회주의자들의 (略)련된 반전운동의 (略)다. 서·상파의 (略) 『볼셰비키』그룹(略)산주의그룹인 『콤(略)파의 후계 공산주(略)』그룹 등 193(略) 공산주의그룹들과(略)활동한 이재유 그(略)삼아 반제민족해방(略)설하려 했던 신국(略)동의 관련양상을 (略)럼으로써 ‘당재건(略)추었던 그간의 연(略)식민지, 혹은 제(略)전개된 반전운동의(略)이를 통해 신국가(略)운동이 갖는 의미(略) 둘째, 1930(略)배경으로 전개된 (略)상을 분석하고자 (略) 중국 내에서 확(略)공감대를 확인하는(略)러싼 각계각층의 (略) 제시할 기회를 (略)정치, 사회세력의(略)정치공동체의 내용(略)냄으로써 중국의 (略)합적이고 역동적으(略)단서를 찾고자 한(略)文)의 대아시아주(略)서론, 동아연맹론(略)는 왕징웨이(汪精(略)분석함으로서 이들(略)는 모순과 당착의(略)직시하고자 한다.(略)방하고 있는 超국(略)한편으로는 국민국(略)는 이중성을 간파(略)수 있는 제3의 (略)는데 궁극적인 목(略)전평화와 문화적 (略)기서는 1부와 2(略)상과 운동을 포괄(略)역점을 두고자 한(略) 텍스트 분석을 (略)국가주의 비판의 (略)고, 나아가서 반(略)인 의미를 비판적(略)화적 실천의 새로(略)자 한다. 이러한(略)반전문학,일본 애(略) 정치담론,국민국(略)실천,반전평화,반(略)카하타 이사오,노(略) 오사무,미야자키(略)영,장용학,왕징웨(略)진,신채호,동아시(略)ti-war,an(略)peace,cul(略)ices,Miya(略)Nosaka Ak(略)n-state,a(略)erature,d(略) East Asi(略)st Asia,J(略)ak,Wang J(略)oku Shyus(略)hin Chae-(略) animatio(略) discours(略)national (略)ata Isao,(略)mu,Park W(略)g Seog-ye(略)sm 결과보고시 (略) 제1과제 분석 (略)호, 중국의 巴金(略)토쿠 슈수이 등 (略) 아나키즘 수용과(略)의 반전사상과 논(略)석했다. 특히 신(略)는 비교사적 방법(略). 이러한 분 .(略)분석 결과 : 한(略) 巴金, 그리고 (略) 등 대표적 아나(略)수용과 이해, 그(略)과 논리들을 집중(略)히 신채호와 巴金(略) 방법을 활용하여(略)분석을 통해, 아(略)시아, 그리고 한(略)의 공통점과 차이(略) 수 있었으며, (略)전쟁을 전후한 시(略)戰論’이 가지는 (略)각적으로 드러낼 (略)연구결과로 반전사(略)의미를 드러내는 (略) 지역적 특수성까(略)점을 확인할 수 (略)제 분석 결과 :(略)국의 일본제국주의(略)핌으로써 양국에서(略)다양한 양상을 드(略)비교함으로써 한국(略) 갖는 근대적 의(略)하고자 했다. 식(略) 다양한 사회주의(略)에 영향을 받았지(略)제와 결부되어 사(略)가는 한 사례에 (略)경우에는 1930(略)동이 국민국가의 (略) 의미에 주목했다(略)해방운동이라는 시(略) 반전사상과 운동(略)뚜렷하게 보였던 (略)는 좀 다른 양상(略)즉, 반전운동과 (略)는 거대정당의 정(略)종속되지 않는, (略)가 건설 시도와 (略)을 보였을 뿐만 (略)확보를 전제로 한(略)의 호응이라는 양(略)분석해낼 수 있었(略)분석결과 : 여기(略)이 전후 동아시아(略)과제로서 가능한가(略) 위해, 한국의 (略) 문학세계와 일본(略)션 감독 미야자키(略)다. 아나키스트였(略)통해 개인의 ‘절(略)주체형성’의 문제(略) 접근하고 있었다(略) 반전운동의 문화(略)있음을 제시했다.(略) 비록 표면적으로(略)있지만 그 이면에(略)일본상보다는 ‘피(略) 강조되고 있는 (略)화의식과 함께 전(略) 공존하고 있는 (略)이고 있음을 드러(略)평화에 대한 문화(略) 한국과 일본에서(略)행되고 있음을 비(略)있는 의미있는 성(略) first th(略) analyze (略)on and un(略) of anarc(略)t Asian i(略)s, especi(略)hae-ho, B(略)ku Shyusu(略)this stud(略)learly br(略) point of(略)nd differ(略)h of ex .(略)t theme a(略)yze the r(略)d underst(略)narchism (略)an intell(略)pecially (略)o, Ba Jin(略)yusui. Th(略)study, we(略)y bring o(略)t of same(略)fference (略)example. (略)theme aim(略)e the ant(略)st moveme(略) and Chin(略)ct on the(略) anti-war(略)n that pl(略)ieve thes(略)tudied th(略)of though(略) socialis(略)ment for (略)f civil w(略), and the(略)e of Wang(略) East Asi(略)The third(略) to resea(略)sibility (略) practice(略)ular lite(略)ast Asia.(略)d the lit(略) of Jang (略)a modern (略)list and (略)n titled (略)lowfly li(略)ced by di(略)zaki Haya(略)초록 본 연구는 (略)시아, 그리고 한(略)운 대안으로 ‘反(略)’이라는 과제가 (略) 사실과 반전운동(略)역적․세계적 차원(略)연대가 모색되고 (略)다. ... 본 (略)과 동아시아, 그(略)기 새로운 대안으(略)화 실현’이라는 (略) 있다는 사실과 (略)국적․지역적․세계(略)사회의 연대가 모(略) 주목한다. 이러(略) 본 연구는 지난(略) 동아시아인에 의(略)反戰(平和)運動의(略)에서 발굴, 분석(略)것이 갖는 역사적(略)하고자 한다. 이(略)통해 첫째, 최근(略) 담론으로 부상한(略) 한층 풍성하게 (略)기 동아시아의 근(略) 성찰할 수 있는(略)시하며, 셋째, (略) 세계자본주의의 (略)는 실천적 대안을(略) 단서를 제공할 (略) 본 연구는 효과(略)해 다음과 같은 (略)한다. 1) 아나(略)) 반전운동과 국(略) 반전평화와 문화(略)이 그것이다. 1(略)사상’ : 20세(略)식인에게 반전사상(略)상은 어떠한 역사(略) 전개되었는가에 (略) 한다. 이를 위(略) 반전사상으로서 (略) 구체적인 분석을(略) 아나키스트 申采(略)트 바진(巴金)의(略)해 반전운동이 갖(略)망하고, (2) (略) 고토쿠 슈스이((略)을 통해 일본에서(略)내용과 특성을 드(略) 반전운동과 국민(略)시아에서 반전운동(略)배에 대한 저항운(略)었다. 반제국주의(略)이 가지는 근대적(略)는 점을 직시하여(略)는 한편 철저한 (略)찰의 대상으로 삼(略) 분석대상은, ((略)국 사회주의자들의(略)반전논리의 양상,(略) 중국 상하이를 (略)한 반전운동의 양(略)文)의 대아시아주(略)서론, 동아연맹론(略)는 왕징웨이(汪精(略)으로 설정한다. (略)적 실천의 가능성(略)과제에서 논의되었(略)괄하는 실천적 의(略)한다. 따라서 구(略) 통해 반전평화사(略) 상호 관련성을 (略)반전사상이 가진 (略)적으로 고찰함으로(略)로운 가능성을 모(略)적인 분석대상은,(略)재 한국문학에 나(略)(2) 일본의 애(略)전의 의미 등으로(略)구는 이상과 같은(略)반으로 한국과 중(略)문학과 역사학을 (略)학제 간 연구를 (略)한 미래 사회의 (略)인문학 연구의 통(略)색하고자 한다. (略)시아에서 반전평화(略)연구는 이를 위한(略)가 될 것임을 확(略) 활용방안 1. (略)는 8개의 주제를(略). 각 주제는 아(略)1과제 분석 주제(略)金의 아나키즘과 (略) 사회주의자의 반(略) 非戰論을 중심으(略)분석 주제 : ①(略)유 ... 1. (略)는 8개의 주제를(略). 각 주제는 아(略)1과제 분석 주제(略)金의 아나키즘과 (略) 사회주의자의 반(略) 非戰論을 중심으(略)분석 주제 : ①(略)유학생의 반제투쟁(略)「1930年代 中(略)內戰運動大同盟」 (略)과 동아시아론」3(略)제 : ①「장용학(略)개인주의적 아나키(略)반딧불의 묘』(火(略)」 상기 7개 주(略)과적으로 진행하기(略)구성원들은 격월로(略)연구모임을 운영했(略)과 발표회를 개최(略)회를 통해 관련 (略) 지적을 받았으며(略)영하여 공동연구 (略)물의 완성도를 높(略) 7편의 논문 가(略) 현재 총 3편의(略)지에 게재 완료되(略)에 게재 완료된 (略)같다.1)「장용학(略)인주의적 아나키즘(略)말글』37호2) (略)동아시아론」, 『(略)2집(2006.1(略)巴金의 아나키즘과(略)현대문학』38호((略)활용방안 본 공동(略) 전문 학술잡지에(略) 나머지 원고들은(略)재 수정 보완 중(略)완이 완료 되는대(略)투고할 예정이다.(略)잠정적으로 200(略)정했다. 본 공동(略)개별 논문을 전문(略)표하는 형식으로 (略)는 한편, 별도의(略)하고 있다. 20(略) 원고를 수합하여(略)어 각 원고의 내(略) 2007년 7월(略) 예정이다. 예정(略)07년 9월 새 (略)단행본 형식의 연(略)이다. 단행본은 (略)각 대학에서 담당(略)에 적극적으로 활(略)시아 각국의 현대(略) 역사 관련 강의(略)교재로 적극 활용(略)의 활용도를 극대(略)어 동아시아, 동(略)전, 반전평화, (略)즘, 국민국가, (略)이션, 신아동맹당(略)내전대동맹, 상해(略)고토쿠 슈수이, (略)미야자키 하야오
- (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