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악 국립공원 등산로의 훼손 유형과 요인 -지리산과 한라산을 사례로-

项目来源

韩(略)研(略)((略))

项目主持人

김(略)

项目受资助机构

제(略)교

项目编号

2(略)-(略)-(略)7(略)

立项年度

2(略)

立项时间

未(略)

研究期限

未(略) (略)

项目级别

国(略)

受资助金额

0(略)韩(略)

学科

未(略)

学科代码

未(略)

基金类别

人(略)-(略)구(略)사(略)원(略)신(略)강(略)]

关键词

未(略)

参与者

김(略)

参与机构

未(略)

项目标书摘要:과제(略)목표 등산객이 증(略)으로 등산로 노면(略)감소한 난투수층이(略)생시에는 투수성이(略)를 따라 지표류가(略)되며, 그 결과 (略)산로 표층의 토양(略)로써 등산 ...(略)등산객의 답압으로(略)극률이 크게 감소(略)다. 강우 발생시(略) 이들 등산로를 (略)게 나타나게 되며(略)을 통하여 등산로(略)쉽게 제거됨으로써(略)손이 일어난다. (略)층이 형성된 등산(略) 물웅덩이가 출현(略)덩이를 피하기 위(略)여 걷게 됨으로써(略) 물론 등산로의 (略)다. 이렇게 등산(略) 기인하는 훼손에(略) 있으나, 실제 (略)있는 훼손 현상은(略)다. 최근 산림청(略)뿌리노출, 암석노(略)분기, 노폭확대 (略)한 훼손 유형을 (略)나 이 경우에도 (略)가 구체적이지 못(略)의 훼손을 일으킨(略)과한 부분이 많아(略)과 요인에 대한 (略)어졌다고 보기는 (略)에서 등산객이 가(略)지리산국립공원과 (略)으로 등산로 실태(略)등산로에 나타나는(略) 원인별로 분류,(略) 국립공원의 등산(略)에 필요한 기초자(略)본 연구의 첫 번(略)국립공원의 넓은 (略)적으로 등산로를 (略) 작업내용이 간단(略)이어야 한다. 또(略)라 정확도가 크게(略)법이 바람직한데,(略)시키는 측량법이 (略)특히 최근 디지털(略)전에 부응하여 고(略)카메라가 보급되고(略)라를 이용한 디지(略)작업에 불리한 산(略)시하는데 매우 효(略)라서 본 연구에서(略) 파악에 디지털 (略)으로써, 금후 산(略) 보전과 관리에 (略)떻게 기여할 수 (略)평가하는 것이 본(略)적이다. 산악 국(略)적인 문제 해결을(略) 관계자들 사이에(略) 정보를 공유하는(略)기에서 언급하는 (略)의 정보라기보다는(略)하여 대책의 우선(略)는, 광역적인 등(略)전체적인 정보를 (略)런 종류의 정보 (略) 시간적인 제약이(略)산악 국립공원의 (略)고 기상조건도 나(略)로 하는 본격적인(略)적으로도 경제적으(略) 아니다. 그러나(略)에서 어느 곳에 (略)는지를 전체적 또(略) 목적이라면, 정(略)이터의 수집까지는(略)히려 등산로와 등(略) 상황을 파악하고(略)수 있을 정도의 (略)지역 전체에 걸친(略)으로 단기간에 실(略)다. 이런 점을 (略) 산악지역의 등산(略) 지침 또는 매뉴(略)의 세 번째 목적(略)로는 등산객이 정(略)하는 이동수단이다(略)서 바라보는 산악(略)의 고산식물은 등(略) 제공한다. 즉,(略)공원의 자연을 즐(略)되는 시설이다. (略) ... 등산로는(略)오르는데 이용하는(略) 등산로 상에서 (略) 등산로 주변의 (略) 큰 즐거움을 제(略)는 산악 국립공원(略)없어서는 안 되는(略)최근 등산로가 심(略) 위험요소가 되고(略)산식물이 손상을 (略)이 큰 이슈가 되(略)추어 훼손을 막기(略)지에서 실시되고 (略)손은 멈추지 않고(略)로가 과도하게 정(略)자연스러움을 상실(略)생하고 있다. 예(略)치된 목도를 불필(略)뿐 아니라 오히려(略) 훼손한다는 비판(略) 국립공원의 등산(略)의 방지와 함께 (略)화에 대한 배려까(略)지 않은 과제이다(略) 정비사업에도 불(略) 본래의 취지를 (略) 것은 소위 ‘뒷(略)이다. 즉, 일상(略)로의 훼손이 심해(略)산을 획득하여 공(略)로를 정비하는 방(略)로를 정비하는 경(略)요인을 고려하기보(略) 제거하는 대증요(略) 결과 일정 시간(略)유형의 훼손 현상(略)다. 과도한 등산(略)손 실태를 파악하(略) 걸쳐 일률적으로(略)때문이다. 이런 (略)산의 등산로 실태(略)되는 등산로의 훼(略)양 침식량과 침식(略) 대증요법적 관리(略)는 계기가 될 것(略) 지질, 토양, (略)환경요소를 고려한(略) 지리산과 한라산(略)전은 물론 우리나(略)행되고 있는 토양(略)필요한 자료로도 (略)다. 한편, 본 (略)조사 지침이 개발(略) 획득한 디지털 (略)산로 이용자와 관(略)고 문제점을 공유(略)책을 논의할 수 (略) 동일한 지점에서(略) 촬영함으로써, (略)열적으로 추적할 (略) 등산객 급증과 (略)경년변화와 등산로(略)써, 등산로의 훼(略) 수 있다. 또한(略) 향후 GIS와 (略)원의 등산로 분석(略) 있다. 예를 들(略)점의 지형, 지질(略)기후 정보와 중첩(略)니즘을 규명할 수(略)근의 침식에 강한(略)를 찾아낼 수도 (略)형을 모식적으로 (略)들은 등산객에게 (略)활용할 수 있다.(略)리에는 관리자인 (略)용자인 등산객의 (略)제로 일본에서는 (略)유지·관리에 적극(略)며, 청소나 이정(略)로의 보수와 신설(略)양한 활동을 하고(略)동으로 이어지기 (略) 이용자들의 의식(略)등산로의 과도한 (略)등 등산객 스스로(略)래한 부분이 적지(略), 등산로 훼손과(略) 갖게 되고, 결(略)의 소중함을 깨달(略)수 있다. 등산객(略)에 지리산과 한라(略)지점들이 교육 자(略) 것이다. 연구요(略)악 국립공원 가운(略) 조사지역으로 한(略)도가 가장 높은 (略)천왕봉까지 길이 (略) 따라 개설된 종(略) 상징성을 지닌 (略) 과도하게 이용된(略)본 연구에서는 산(略)지리산과 한라산을(略) 지리산에서 이용(略)로는 노고단에서 (略).5㎞의 주능선을(略)간이다. 지리산의(略)로이므로 일찍부터(略)에 훼손된 곳이 (略) 따라서 지리산국(略)산로를 중심으로 (略)라산국립공원에는 (略)월 4일) 돈내코(略)다시 개방되었다.(略) 분기점에서 윗세(略) 백록담 서벽 우(略)다. 서벽 우회구(略)구조를 갖고 있을(略)화구벽을 볼 수 (略)문에 많은 탐방객(略)손될 가능성이 매(略)로의 지속적인 운(略)위해서도 이 구간(略)요하므로 한라산국(略)회구간을 조사지역(略)로의 훼손 상태와(略) 센서스법으로 파(略) 종구구간에서는 (略)으로, 한라산 서(略)5~50m 간격으(略)고, 신속측량법을(略)훼손 실태를 파악(略)법을 활용하여 훼(略). 훼손 유형을 (略)각각의 지점에 알(略) 기준점을 설치하(略)인 단면적 측량을(略)토양 침식량과 침(略)한 기준점에 근거(略)과는 별도로 디지(略)사진측량도 동시에(略) 결과를 비교하여(略) 사진측량의 적용(略) 이를 토대로 보(略)로의 토양 침식량(略)다. 광역에 걸친(略)로 현황조사에 필(略)하여 등산로를 따(略)대시설의 훼손 및(略) 카메라로 촬영하(略)을 GPS로 기록(略)한 조사내용도 같(略)자료는 디지털화하(略)다. 촬영지점의 (略)육안 관찰기록까지(略)털 사진과 쉽게 (略)에 문제점을 찾아(略)을 세우는데 효율(略)다. 이런 디지털(略) 다량의 정보를 (略) 아니라 광역에 (略) 경우 우선순위를(略)다. 구체적인 조(略)조사를 통하여 현(略)영되도록 결정한다(略) 토대로 연차별 (略)다음과 같다. 1(略)종주구간과 한라산(略)신속측량법과 센서(略)로의 훼손 상태와(略)그리고 이 자료를(略) 요인별로 정리하(略)형이 모식적으로 (略)하여 지형 변화량(略)면적 측량을 실시(略) 6~8월의 우기(略), 12~5월의 (略) 구분하여 계절별(略) 측량은 2차 년(略) 2년 동안의 연(略)량과 침식속도를 (略)로 파악한다. 이(略)에서 디지털 카메(略)을 실시하고, 두(略)하여 디지털 사진(略) 평가한다. 또한(略)필요한 지침 개발(略)에는 지리산의 노(略) 디지털 카메라와(略)황조사를 직접 실(略)점을 파악하고 조(略)화한다. 2차 년(略) 구간과 한라산의(略)간을 대상으로 개(略), 평가하여 조사(略)한글키워드 보전과(略)요인,등산로,디지(略)지리산,산악 국립(略)nservatio(略)ement of (略)ls,typolo(略)ors of tr(略)tion,Moun(略)tal photo(略)ountain n(略)k,Mount H(略) trail 결과(略)문 등산객이 과도(略)의 답압으로 등산(略) 크게 감소된 난(略)노면의 난투수층에(略)손은 비교적 잘 (略) 등산로에서 발생(略) 훨씬 더 다양하(略)청과 국립 ...(略)증가하면 등산객의(略)면에는 공극률이 (略)이 형성된다. 노(略)하는 등산로 훼손(略) 있으나, 실제 (略)있는 훼손현상은 (略)국내에서는 산림청(略) 등산로의 훼손유(略)노출, 바닥침식,(略)로 구분하고 있으(略)사례가 구체적이지(略)킨 원인에 대해서(略)아 등산로의 훼손(略)논의가 충분하게 (略)어렵다. 따라서 (略)장 많이 찾고 있(略)한라산국립공원을 (略)를 분석하고, 이(略) 다양한 훼손현상(略)정리하여 향후 산(略) 관리를 비롯하여(略)기초자료를 제공하(略)립공원의 종주등산(略) 위치와 구배에 (略)형, 외벽형 및 (略)분되며, 노면의 (略)간 변화가 일어난(略)한 종주등산로의 (略)5.9㎝, 깊이 (略).1°이며, 모든(略)다. 노폭은 사면(略)의 영향을 받으며(略) 비대칭형 등산로(略)산로 출현시점을 (略)면, 등산로 형태(略)로 횡단면에서의 (略)8.9㎠로 노폭은(略)어지고, 노면은 (略)이 된다. 반면에(略)한 등산로 변화는(略)차이를 보이나 대(略) 확대되었다. 단(略)을 포함하여 2((略)2012년 4월까(略)평균 317.63(略)는 0.63㎠로 (略)는 차이를 보인다(略)비동결기의 침식량(略)나타났다. 지리산(略)로 훼손은 침식프(略)소에 따라 노면저(略)확대 및 분기로 (略)면저하와 측벽후퇴(略)식 요인에 의해 (略)반면 노면확대 및(略)압으로 발생하는 (略)하를 일으키는 가(略) 우세이며, 측벽(略)적 환경에 따라 (略)취식, 도목, 동(略)로세스가 달라진다(略)는 답압을 일으키(略)화할 수 있다. (略) 노면이 낮아지는(略)무뿌리, 자갈 및(略)굴로 인하여 노면(略) 등 우세와 관련(略)례가 많다. 또한(略) 물웅덩이, 산림(略)천근성 수목인 구(略)확대 및 분기의 (略)돌깔기공법처럼 노(略)등산객의 등산로 (略)며, 보행에 불편(略)라도 등산객이 지(略)서도 노면분기가 (略)편, 일본 홋카이(略)원에서는 등산 성(略)는 탓에 답압, (略) 복합적으로 작용(略)일어난다. 지표지(略) 우곡화된 노면이(略) 심하게 훼손된 (略) 출현하고 있다.(略) 등산로 관리는 (略)훼손 후 정비라는(略) 기본이었다. 그(略)정비에 중점을 둔(略)자와 시민단체 또(略) 같은 공공사업에(略) 중심으로 전개되(略)리고 있다. 훼손(略)다이세츠산의 자연(略)침에 근거하여 맞(略)고 있으며, 근자(略)하여 등산객의 안(略)고려한 친환경적인(略)하고 있다. 이에(略)자연환경과 등산체(略)위하여 다이세츠산(略)리수준을 새롭게 (略) 환경조건과 이용(略)차별화된 등산로 (略)다. 영문 A r(略)se of hik(略)s an aqui(略)tread ind(略)an trampl(略)gh it is (略)that hiki(略)an be det(略)y an aqui(略)l degrada(略) due to d(略)ional fac(略) National(略). A rapid(略)f hikers (略) aquiclud(略)d induced(略)rampling.(略)t is well(略) hiking t(略)e deterio(略) aquiclud(略)gradation(略) to diver(略)l factors(略)ional Par(略)ave recen(略)ed severa(略)trail deg(略)ch as roo(略) bedrock-(略)read eros(略)ivergence(略)widening.(略)t does no(略)tly refle(略)logy of d(略)ils, and (略)rlooks va(略)rs for de(略)rails. Th(略)udy aims (略)the prese(略)n of trai(略)iri and M(略)tional Pa(略) clarify (略)y and fac(略)il degrad(略)ould prov(略)aterials (略)eful for (略)anagement(略)n nationa(略) mountain(略)on. Ridge(略) trail in(略)ational P(略)sified as(略)y-like, u(略)and asymm(略)eral, pat(略)on a loca(略)adient of(略)se types (略)angeable (略)ainage co(略)trail sur(略)rding to (略)vey techn(略)rail is 1(略)e, 23.6 c(略)5.1° in a(略)respectiv(略)eads have(略)cted due (略)ampling. (略)dth is af(略) slope as(略)distribut(略) borealis(略)tric path(略)han a sym(略). The rat(略)rosion, w(略)imated fr(略) width an(略)ridge tra(略)il, is eq(略) 68.9 cm^(略)the perio(略) to 2009,(略) that the(略)been wide(略)year and (略)owered 0.(略)On the ot(略)he rates (略)sion base(略)oss-secti(略)ethod var(略)te to sit(略)m^2/year (略)^2/year f(略)od of 12-(略)Also, the(略) rates of(略)en season(略)lly large(略)e of a fr(略). Hiking (略)t. Jiri, (略)la, Natio(略)e deterio(略)tural ero(略)ses as we(略) tramplin(略)gradation(略)ied into (略)ing, side(略)t, path w(略) divergen(略)on a plac(略)sional pr(略)ur. Tread(略)nd sidewa(略)are gener(略)ed by nat(略)n factors(略)ath widen(略)ergence a(略)d by huma(略). Rainwas(略)st contri(略)ess to tr(略)g. By con(略)ral proce(略)s rainwas(略) action, (略)tree fall(略)imal acti(略) major ro(略)all retre(略)g to phys(略)ions of a(略)il. Path (略)d diverge(略)e classif(略)ctor prod(略) tramplin(略)e lots of(略)ted to ra(略) as the t(略)ravel, an(略)exposed b(略) flow low(略)ad and th(略)duced by (略)ing. A pu(略)nwater on(略)ad and a (略) of Abies(略) a forest(略) also maj(略)to cause (略)ng and di(略) paved tr(略)ones enco(略)ker to wa(略) trail. T(略)rtcut als(略)n path wi(略)divergenc(略) factor g(略)er inconv(略)a trail. (略)kking sea(略)es with a(略)ng period(略)uzan Nati(略)n Hokkaid(略)iking tra(略)en active(略)y several(略)cluding t(略)now-melti(略)d pipkrak(略)ion, surf(略) is large(略) of pyroc(略)rials, re(略)severely (略)d trails (略)ully-like(略) divergin(略)ughout th(略). The hik(略)were fund(略)anaged in(略) symptoma(略)nt. Howev(略)ly mainte(略)ails has (略)ly conduc(略)nteers, c(略)y organiz(略) local re(略)ticipatin(略)ic work l(略)orker ope(略)nistry of(略)nment, an(略)as obtain(略)ults. The(略)rails are(略)ccording (略)nance gui(略)ecting th(略)nvironmen(略)isetsu. I(略)r, a neo-(略)il restor(略)d, which (略)afe trekk(略)rs and er(略)cesses, i(略)ied to th(略)ce of deg(略)s. Minist(略)nvironmen(略)ed a mana(略)l of hiki(略)n Daisets(略)al Park i(略)protect t(略) experien(略)as the na(略)onment. I(略) that the(略)ils are d(略)ly manage(略) on the a(略)tions of (略) and use (略)il. 연구결과보(略)목적 및 방법 -(略)---------(略)---- 3 1.(略) 필요성 및 연구(略)---------(略)내용, 범위 및 (略)---------(略)Ⅱ. 연구수행 내(略)---------(略)-------- (略) 연구목적 및 방(略)---------(略)------- 3(略)목적, 필요성 및(略)---------(略) 연구내용, 범위(略)---------(略)- 4Ⅱ. 연구수(略)---------(略)---------(略) 연구수행 내용 (略)---------(略)-- 5 2. 2(略)---------(略)---------(略)구결과 -----(略)---------(略)-------- (略) 단면형별 유형 (略)---------(略)3.2. 등산로의(略)형별 발달과정 -(略)- 9 3.3. (略)량 및 침식속도 (略)------ 11(略)침식프로세스 --(略)---------(略)3.5. 등산로의(略)---------(略)----- 17 (略)유형의 발달과정 (略)---------(略). 고산대 등산로(略)---------(略) 25 3.8. (略)리 실태 ----(略)---------(略)산로 현황 조사수(略)---------(略)36Ⅲ. 연구결과(略)---------(略)---------(略)결과 활용계획 -(略)---------(略)---- 39 2(略)---------(略)---------(略)- 41Ⅳ. 참고(略)---------(略)---------(略) 연구결과 및 활(略)산로는 노면의 출(略) 평탄면형, 우곡(略)칭 양벽형으로 구(略)따라 유형간 변화(略)량법으로 구한 등(略) 135.9㎝, (略)배 5.1°이며,(略)어 있다. ...(略) 노면의 출현위치(略)면형, 우곡형, (略)벽형으로 구분되며(略)유형간 변화가 일(略)로 구한 등산로 (略)5.9㎝, 깊이 (略).1°이며, 모든(略)다. 노폭은 사면(略)의 영향을 받으며(略)형 등산로의 노폭(略)면적 변화는 지점(略) 보이나 대부분 (略)되었다. 단면이 (略)제외하면 2(略)(略)12년 4월까지 (略).9~908.8㎠(略) 0.1~1.72(略)비동결기의 침식량(略)로 훼손은 침식프(略)소에 따라 노면저(略)확대 및 분기로 (略) 측벽후퇴는 주로(略)한 유형인 반면 (略)답압으로 발생하는(略)를 일으키는 가장(略)우세이며, 측벽후(略) 환경에 따라 우(略)식, 도목, 동물(略)달라진다. 노면확(略) 일으키는 원인에(略)노면이 낮아지는 (略)뿌리, 자갈, 암(略) 노면에 만들어진(略) 관련하여 발생하(略) 평탄면 구간에서(略)대 구간에서는 구(略)확대 및 분기의 (略)처럼 노면보호공법(略)이탈을 조장할 수(略)지름길을 만드는 (略) 발생한다. 반복(略)에도 불구하고 훼(略)지를 충분히 살리(略) 사후약방문 방식(略) 더불어 지점별 (略)않고 훼손된 외관(略)법적인 방식으로 (略)시간이 지나면 다(略)나타나기 때문이다(略)한라산의 등산로 (略)형과 요인, 토양(略)는 훼손 등산로에(略)법적인 관리방식을(略)될 것이며, 특히(略) 분석한 훼손유형(略)공원뿐 아니라 모(略)리에 필요한 기초(略)다. 다이세츠산국(略)방식을 벤치마킹하(略)정비지침에 근거하(略), 해당 산악조건(略)로공법을 개발하여(略)하는 것은 매우 (略)가 될 수 있다.(略)단체와 자원봉사자(略) 조성하고, 동시(略)인하여 침식이 조(略)에 대한 체계적인(略)등산로 관리에 부(略)수 있을 것이다.(略)산체험 모두를 보(略)관리수준의 설정은(略)리를 위하여 적용(略)가 있다. 본 연(略) 등산로 현황조사(略)료를 활용하면 등(略)가 현황을 정확하(略) 공유함으로써 효(略) 가능해진다. 동(略) 사진을 촬영함으(略)시계열적으로 추적(略)우 같은 일시적인(略)변화를 비교함으로(略)힐 수도 있다. (略)를 GIS에서 지(略)식생, 미기후 등(略)연계하여 활용하면(略)산로 분석과 관리(略) 색인어 등산로,(略)속측량법, 단면적(略)조사수법, 노면저(略)확대 및 분기, (略)세, 서릿발작용,(略)작용, 등산로 정(略)수준, 근자연 등(略)공원, 지리산, (略)

  • 排序方式:
  • 0
  • /
    (略)
  • 排序方式: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