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rt and Internet of Water Management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Exploring and Practices in China and Republic of Korea
项目来源
韩(略)研(略)((略))
项目主持人
강(略)
项目受资助机构
단(略)교
立项年度
2(略)
立项时间
未(略)
项目编号
2(略) K1A3A1A20003375
项目级别
国(略)
研究期限
未(略) (略)
受资助金额
6(略)0(略).(略)元
学科
공(略)
学科代码
未(略)
基金类别
과(略)국(略)업(略)화(略)성(略)해(略)기(略)-(略)협(略)조(略)
关键词
기(略) (略)오(略)수(略) (略);(略)유(略)망(略)딥(略)모(略) (略) (略);(略)i(略)e(略)a(略) (略)n(略)o(略)H(略)o(略)i(略)o(略)n(略) (略)j(略)i(略);(略)n(略)e(略)r(略)f(略)r(略)c(略)n(略)D(略)-(略)r(略)g(略)d(略);(略)t(略)b(略)n(略)m(略)l
参与者
W(略),(略)n(略)n(略)
参与机构
T(略)g(略)U(略)e(略)t(略)
项目标书摘要:연구(略)변화에 따른 수문(略))간 상호작용을 (略)입량 예측 및 가(略)를 바탕으로 한 (略)의 연계운영규칙을(略)도 안정적인 용수(略) 것을 최종 목표(略)기 위해서 1차년(略)댐 유입량,가뭄빈(略)기후변화 시나리오(略)화,2차년도에는 (略) 위한 유역 장기(略)러닝 모형 구축,(略) 시나리오별 가뭄(略) 물수지모형을 활(略)을 도출하는 것을(略) 연구내용(略) 수문요소 및 가(略)관측자료를 활용한(略)강수량 및 증발산(略)유입량의 유황별((略),갈수량)추세 분(略)량)기반의 Cop(略)및 추세 분석□ (略)강수,증발산의 통(略) 추세 전망기상청(略)CE)및 전세계 (略)나리오별 전망 모(略)을 활용한 기상관(略)에 대한 통계적 (略) 불확실도 평가 (略)장기 강수,증발산(略)기유출 모의를 위(略) 장기유출 모형((略)HACRES 등)(略)모형 선정관측자료(略)구축 및 장기유출(略)한 기준기간 및 (略)유출 산정□ 기후(略) 위한 딥러닝 모(略)열 모의를 위한 (略)TM,RNN 등)(略)를 활용한 딥러닝(略)딥러닝 모형을 활(略)망기간에 대한 장(略)화 시나리오별 장(略)역 장기유출 모형(略)활용한 기후변화 (略)유입량 산정기후변(略)댐 유입량 검증 (略)변화 시나리오별 (略)전망기후변화 시나(略)량 결과를 활용한(略)도해석가뭄빈도해석(略)가뭄 시나리오에 (略)□ 기후변화 시나(略)급을 위한 댐 연(略)수계 주요 댐의 (略) 물수지모형(MO(略)sSIM,K-WE(略)정물수지 모형을 (略) 및 댐 간 연계(略) 기대효과(略) 수문요소의 전망(略)사상의 발생빈도 (略) 있으며,이에 대(略) 수 있다.물리모(略) 활용하여 장기적(略)입량 및 이에 대(略)뭄 발생 규모 등(略)특히 딥러닝 모형(略) 결과로는 추정할(略) 상호작용을 밝힐(略)상된다.또한 댐 (略)물수지 모형을 활(略)공급을 위한 최적(略)제시할 수 있다.(略)련 계획 수립에 (略) 나아가 국가 물(略)책 제안에 도움이(略) 기대된다.
- (略)